본문 바로가기

공부(IT)/네트워크(기초이론)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1. 1 - 애플리케이션

Chaper 1. 기초

problem : 네트워크의 구성

1.1 애플리케이션

1.2 요구사항

1.3 네트워크 구조

1.4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의 구현

1.5 성능

1.6 요약



1.1.1 인터넷의 대중적인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알아보자.

  - 월드 와이드 웹(WWW)

- Uniform Resource Locator(URL)라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연결가능한 모든페이지들을 하나씩 구별하여 지칭한다. 예를들어 [http://creamyforest.tistory.com/admin/entry/post/?id=9&returnURL=/9] 라는 URL에서 http는 이 페이지를 전송받기 위해 HTTP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creamyforest.tistory.com]은 이 페이지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나타낸다. 나머지부분은 그 사이트에서 이 페이지를 식별한다.


- 이러한 URL을 클릭하면 17개나 되는 메세지가 인터넷 상에서 교환된다. 서버이름(creamyforest.tistory.com)을 인터넷주소(180.80.134.239)로 변환하기 위한 6개의 메시지와 서버와 브라우저사이에 TCP접속을 설정하기위한 3개의 메시지, 브라우저가 HTTP의  'get'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요청된 페이지를 전송하는(응답메세지 포함) 4개의 메시지, TCP접속을 분리시키기 위한 4개의 메시지. 물론 이는 지속적으로 교환하는 수백만개의 메시지를 포함하지 않은 개수이다.


-스트리임 오디오와 스트리밍 비디오

- 웹페이지를 전송받은 후 화면에 나타내는 것과는 다르게 송신측과 수신측이 비디오스트림의 소스와 싱크이다. 소스는 일련의 비디오 프레임을 생성하고 (아마도 비디오 캠쳐카드를 이용) 각각의 프레임은 메시지로서 네트워크를 이동, 싱크는 프레임이 도착하는데로 이를 재생한다.


-주문형 비디오(VOD)와 화상회의

-화상회의는 각 사용자에게 가능한 빨리 변화가 전달되어야한다. 시간지연이 너무크면 그 시스템은 사용할 수 없어 엄격한 시간제한이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VOD는 사용자가 비디오 재생을 시작하고 화면이 보여지기까지 몇 초정도밖에 걸리지 않아 그 시스템이 어느정도 만족한 만한 수준으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VOD에서는 프레임이 오직 한방향으로만 전송되는것에 비해 화상회의에서는 프레임이 양방향으로 모두 전송되어야한다.


1.1.2 이를 통하여 알수 있는것

- 인터넷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양하다는것을 알게되었다. 이는 인터넷 설계의 복잡성에 대하여 단서를 제공한다.

-기초에서부터 시작하고, 한번에 하나씩의 문제를 겨냥하도록 하여, 이책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위해 네트워크를 어떻게 만들것인가를 설명할것이다.